화장품 정보의 홍수 속에서… 우리는 ‘진짜 정보’를 알고 있을까?

잘못된 정보가 만드는 ‘화장품 오해’

우리는 매일 화장품을 사용한다. 피부에 직접 닿는 만큼 많은 관심을 갖고, 제품을 선택할 때도 성분과 효능을 따져본다.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화장품 정보는 과연 얼마나 정확할까?

“립스틱을 매일 바르면 건강에 해롭다”, “고가 화장품이 저가 화장품보다 무조건 좋다”, “화장품만으로 주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같은 정보들은 과연 사실일까?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장을 맡고 있는 김주덕 교수는 최근 출간한 책 《화장품의 정석》에서 이러한 잘못된 정보들을 바로잡는 것이야말로 K-뷰티의 미래를 위해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한다.

‘화장품 가짜뉴스’의 시대, 진짜 정보가 필요하다.

김주덕 교수는 “SNS와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비과학적이고 검증되지 않은 화장품 정보가 무분별하게 확산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화장품 성분에 대한 과도한 공포를 조장하는 ‘케미포비아(chemophobia)’ 현상이 심화되면서 소비자들은 오히려 더 혼란을 겪고 있다.

대표적인 화장품 가짜뉴스 사례

“무조건 ‘천연 화장품’이 더 좋다?”
→ 모든 천연 성분이 안전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피부에 자극이 될 수도 있다.

“약국 화장품은 ‘치료 효과’가 있다?”
→ 약국에서 판매한다고 해서 의약품이 아니다. 화장품은 치료 목적이 아닌 ‘미용’ 목적의 제품이다.

“비싼 화장품이 무조건 좋다?”
→ 가격이 높다고 무조건 효과가 좋은 것은 아니다. 핵심은 ‘성분 배합’과 ‘피부 타입’에 맞는지 여부다.

이처럼 화장품에 대한 잘못된 믿음이 소비자들에게 확산되면서, 오히려 현명한 소비를 방해하는 경우가 많다.

화장품, ‘학문’으로 연구해야 하는 이유

김주덕 교수는 한국 최초로 대학에 ‘향장학’ 과정을 개설한 인물이다. 화장품이 단순한 미용 제품이 아니라, 과학적 연구가 필요한 학문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지난 30여 년간 K-뷰티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노력해왔다.

“과거에는 ‘화장품이 학문이 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많았어요. 하지만 오늘날 K-뷰티는 글로벌 뷰티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현재 한국의 여러 대학에서는 화장품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으며, 석·박사 과정까지 운영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화장품 연구는 해외에서도 주목받고 있으며, 글로벌 브랜드들도 한국의 기술력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K-뷰티의 성공, ‘올바른 정보’에서 시작된다

K-뷰티는 전 세계에서 인정받는 뷰티 산업으로 자리 잡았다. 미국, 유럽, 동남아시아 등에서 한국 화장품 브랜드들은 독창적인 제품력과 혁신적인 기술력으로 소비자들을 사로잡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정보가 부족하면 K-뷰티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할 수 있다.
김주덕 교수는 “K-뷰티가 앞으로도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특히, 규제보다는 ‘정보 공유’와 ‘소비자 교육’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K-뷰티가 나아가야 할 방향
   1.소비자 교육 강화
•화장품 성분과 효능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
•SNS·유튜브 등을 활용한 정확한 정보 전달
  2.화장품 연구 및 개발 확대
•글로벌 시장에 맞춘 제품 개발
•한방 화장품, 클린 뷰티 등 지속 가능한 연구
  3.정부 및 기업의 협력
•K-뷰티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지원 확대
• 해외 시장 규제 완화 및 수출 지원

 K-뷰티의 미래, 소비자와 함께 만든다.
김주덕 교수는 “화장품은 단순한 소비재가 아니라, 우리의 삶과 함께 변화하는 생명체”라고 말한다.
그는 K-뷰티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업, 연구자, 정책 결정자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정확한 정보를 알고, 신중하게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야말로 K-뷰티의 건강한 발전을 위한 첫걸음이라는 것이다.
“화장품을 매일 사용한다고 해서, 우리가 ‘진짜 정보’를 알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제는 화장품에 대해 제대로 배우고,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현명한 소비를 해야 합니다.”
K-뷰티의 미래는 ‘올바른 정보’에서 시작된다. 이제는 가짜 뉴스가 아닌, 진짜 정보를 바탕으로 화장품을 바라봐야 할 때다.
화장품은 우리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된 제품이지만, 잘못된 정보로 인해 소비자들은 혼란을 겪고 있다. K-뷰티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진짜 정보’가 필요하며, 기업과 소비자, 정부가 함께 정확한 정보를 공유하고 올바른 화장품 문화를 만들어가야 한다.

《화장품의 정석》은 우리가 알고 있다고 믿었던 화장품 정보들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만드는 책이다. K-뷰티를 사랑하는 소비자라면, 이제는 ‘진짜 정보’를 바탕으로 화장품을 이해해야 할 때다.

 ‘당신의 소중한 제보가 세상을 바꾸는 뉴스가 됩니다’
[전화] 070-4189-6956
[메일] itfocus703@naver.com

채정아 기자

올리브영이 예측한 2025 뷰티 트렌드, ‘발견’이 핵심 키워드

“나를 찾아가는 여정에서 나를 발견하다”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 속에서 우리는 어떤 제품을 선택하고, 어떻게 자신을 표현할까? 올리브영이 2025년 뷰티&헬스 트렌드 키워드로 ‘DISCOVERY(디스커버리)’를 선정했다.

디스커버리는 ‘발견’을 의미하며, 단순한 소비가 아니라 다양한 선택지를 경험하며 진짜 나를 찾아가는 과정을 뜻한다. 올리브영은 소비자 구매 데이터 1억 6천만 건을 분석해, 이 키워드를 도출했다.

즉, 2025년의 소비자는 단순히 인기 제품을 따라 사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제품을 탐색하고 발견하는 방식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측된다.

DISCOVERY, 4가지 핵심 트렌드

올리브영은 ‘DISCOVERY’를 구성하는 네 가지 키 포인트를 제시했다.
  1. 내가 선택하는 럭셔리(Individual Luxury)
  2. 글로벌 고객이 경험하는 K-뷰티 다양성(Variety in K-Beauty items chosen by global consumers)
  3. 리테일 그 이상의 공간(Retail Contents : Beyond Selling, Focusing on Emotional Connection)
  4. 티가 나지 않는 깔끔함을 원하는 남성(Yet to Satisfy: Men Seek Natural Hidden Beauty)

각각의 트렌드는 개인의 취향을 존중하는 소비 패턴과, 뷰티&헬스 업계가 변화하는 방향을 반영하고 있다.

올리브영이 선정한 2025 뷰티&헬스 트렌드 키워드 ‘DISCOVERY’.
올리브영이 선정한 2025 뷰티&헬스 트렌드 키워드 ‘DISCOVERY’.

1. 내가 선택하는 럭셔리 – 개성과 취향을 반영한 프리미엄 소비

과거 럭셔리 화장품은 ‘소유’의 의미가 강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단순한 ‘명품’이 아니라, 개인의 취향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럭셔리를 소비하는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올리브영의 프리미엄 뷰티 전문관 ‘럭스에디트(Luxe Edit)’의 매출에서도 확인된다. 럭스에디트에서는 개인별 피부 고민을 해결하는 기능성, 맞춤형 제품이 특히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소비자는 단순히 유명 브랜드가 아니라, 자신에게 적합한 프리미엄 제품을 찾고 있다.

올리브영은 이를 반영해,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부터 트렌디한 인디 브랜드까지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헐리우드 유명 인플루언서 자매 ‘시미&헤이즈’의 색조 브랜드 ‘시미헤이즈뷰티’를 럭스에디트에 추가하며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혔다.


2. 글로벌 고객이 경험하는 K-뷰티의 다양성

K-뷰티는 더 이상 한류 열풍에 힘입은 일회성 트렌드가 아니다. 이제 해외 소비자들은 한국 뷰티 제품을 ‘필요한 제품’으로 인식하고 직접 선택하고 있다.

과거에는 SNS에서 입소문 난 제품을 구매하는 패턴이 강했지만, 이제는 소비자가 자신의 피부 타입과 취향에 맞는 K-뷰티 제품을 찾아 나서는 경향이 뚜렷하다.

올리브영 글로벌몰의 회원 수는 2024년 전년 대비 100만 명 이상 증가하며 200만 명을 돌파했다.

이제 글로벌 소비자들은 스킨케어뿐만 아니라 헤어·바디 케어, 이너뷰티 제품까지 다양한 K-뷰티 제품을 구매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K-뷰티의 인기 확산이 아니라, 한국의 헬스케어·라이프스타일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현상이다.


3. 리테일 그 이상의 공간 – ‘체험’이 핵심이 되는 오프라인 매장

온라인 쇼핑이 대세가 된 시대에도, 오프라인 매장은 사라지지 않았다. 오히려 오프라인 매장은 단순한 ‘쇼핑 공간’을 넘어 소비자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는 2027년까지 소매업체 수익의 40%가 리테일 외 분야에서 나올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올리브영은 **‘올리브영N 성수’**를 선보였다.

📍 올리브영N 성수의 특징
✅ 1,400평 규모의 혁신 매장
✅ 5층 중 3개 층을 고객 체험 공간으로 구성
✅ 메이크업·에스테틱 컨설팅, 팝업존, 회원 라운지 등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올리브영N 성수는 ‘제품을 파는 공간’을 넘어, 브랜드 경험과 커뮤니티가 형성되는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오프라인 공간의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4. 티나지 않는 깔끔함을 원하는 남성 – ‘히든뷰티’ 시장의 성장

뷰티 시장에서 남성 소비자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다. 올리브영 조사에 따르면 남성 10명 중 9명이 ‘자기 관리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남성들이 원하는 것은 과한 화장이 아니다. 자연스럽지만 깔끔한 인상을 유지하는 제품을 찾고 있다.

▶ 이러한 변화 속에서 올리브영에서는 남성용 ‘히든뷰티’ 제품의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다.

📍 남성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제품
✅ 얼굴·입술 색을 자연스럽게 보정하는 톤 커버 로션
✅ 생기 있는 입술을 연출하는 컬러 립밤
✅ 헤어 볼륨을 유지하는 볼륨 핀
✅ 옆머리를 정리하는 헤어 누르개

이제 남성 소비자들도 ‘꾸미는 것’을 부담스러워하지 않는다. 다만, 자연스럽고 깔끔한 이미지를 원하는 새로운 스타일의 뷰티 소비 트렌드가 등장하고 있다.

올리브영은 현재 1,800종 이상의 맨즈케어 제품을 판매하며, 남성 화장품 팝업 매장을 운영하는 등 적극적으로 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2025년, ‘DISCOVERY’ 트렌드는 어디까지 확장될까?

올리브영이 제시한 2025년 뷰티&헬스 트렌드 ‘DISCOVERY’는 단순한 제품 구매가 아니라 개인의 취향을 발견하고, 나만의 스타일을 완성해 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 내가 원하는 럭셔리를 선택하는 소비자
✔️ K-뷰티를 주체적으로 경험하는 글로벌 소비자
✔️ 단순한 쇼핑을 넘어 감각적 경험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공간
✔️ 자연스럽게 깔끔한 인상을 원하는 남성 소비자

이 모든 변화는 결국 ‘나만의 뷰티&헬스 루틴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이어진다.앞으로 올리브영이 만들어갈 새로운 뷰티&헬스 트렌드는 어떤 모습일까? 여러분의 생각을 댓글로 공유해주세요!